본문 바로가기
통계 TV

장례식장 예절, 조문 방법

by 라피디 2022. 11. 20.
320x100
300x250

장례식장 예 및 조문 방법입니다.  우리는 살면서 필연적으로 사랑하는 가족이 떠나거나 지인이 떠나는 것을 지켜봐야 하는 순간이 온다. 그 어떤 슬픔보다 클 수밖에 없습니다.  주변에서 누군가 죽었을 때 우리는 장례식장에 가게 됩니다. 자주 가지 않는 사람의 경우 혼자 가게 된다면 무척 당황스러울 수도 있습니다.  장례식장에 가서 고인과 유가족분들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조심스럽습니다. 아래 짧은 글이 여러분에게 장례식장에서 예절을 지키고 실수를 하지 않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장례식장
빈소

1.  몇가지 단어의 뜻을 알아야 합니다. 

부고: 사람의 죽음을 알림

조문: 남의 죽음에 대해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를 위문함 (고인과 간접적인 관계, 예) 친구의 부모님상, 회사 동료의 가족상 )

문상: 남의 죽음에 대해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를 위문함 ( 고인과 생전에 아는 사이)

상주: 주가 되는 상제, 대개 장자가 된다. ( 표시- 남자 : 검은색의 줄이 그어져 있는 완장을 찬다. 여자: 무명천으로 만들어진 머리핀을 착용한다. ) 

장례식장 복장

 

2. 부고 문자 답장 예시

- 뜻밖의 비보에 슬픈 마음 금할 길 없습니다. 조의를 표하오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사정상 직접 조문을 가진 못했으나, 삼가 위로의 말씀을 전해 드립니다. 

- 뜻밖의 비보에 슬픈 마음 금할 길 없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모친(부친)의 별세를 애도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3. 장례식장 방문 조문객의 옷차림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복장을 바르게 하고, 상주에게 정중한 태도로 예의를 지켜야 합니다

 

1) 남자의 경우

검정색 양복을 입는 것이 무난하다.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 양복도 무방하다.

와이셔츠는 화려하지 않은 희색 또는 무채색 계통의 단색이 좋다.

검정색, 무채색 양말을 신는다. 

양복이 아니더라도 검정색 , 무채색 계통의 의상을 입어도 된다. 

300x250

2) 여자의 경우

검정색 상의에 무채색게통의 폭이 넓은 치마가 무난하다. 

검정색 구두와 검정색 스타킹이 무난하다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은색이 무난하다

색채 화장은 피하는 것이 좋다

귀걸이, 목걸이, 반지 등 액세서리는 피하는 것이 좋다. 

검정색 정장이 아니더라도 검정색 , 무채색 계통의 다른 의상을 입어도 된다. 

 

 

4. 조문/문상 절차 

1) 부의금 봉투 준비하기:

(1) 봉투 뒷면 하단 왼쪽에 소속과 이름을 적는다. 

(2) 부의금은 보통 3,5,7,10 만원으로 하고 10만 원 이상부터는 5만 원 단위로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숫자 4,9 로 시작되는 금액은 좋지 않은 의미가 부여될 수 있어서 피하는 것이 좋다.

(3) 돈 없는 학생인 경우에는 부의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 와 준 것만으로도 감사할 것입니다.

 

2)  장례식장 입장: 

(1) 두꺼운 외투나 모자는 미리 벗고 들어간다. 

(2) 장례식장에 들어가면 접객실 ( 식사)와  빈소 (영정사진을 모셔두는 곳)으로  2가지 공간이 있다. 

(3) 입구에 부의록(방명록)을 작성하고 부의금을 부의한다.

(4) 부의금 상자가 입구에 없고, 빈소에 있을 경우, 재배 또는 묵념 후 부의금함에 봉투를 넣는다.

(5) 상주, 상제와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있는 분향이나 헌화를 한다.

- 분향 방법:

향나무를 깎은 나무 향일 경우 오른손으로 향을 집어 향로 위에 놓는다. 이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바친다.

막대 향일 경우 엄지와 검지로 하나의 막대 향을 집고, 촛불에 불을 붙인 다음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향로에 꽂는다. 이때 절대 입으로 불어 끄면 안 된다. 

-헌화 방법: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잡고 왼손 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공손히 재단 위에 올린다. 

꽃봉오리 방향은 안쪽 또는 바깥쪽 먼저 놓인 꽃을 보고 똑같이 올린다. 

(6) 분향 또는 헌화 후 뒤로 물러나서 큰절을 2번 한다 (재배)

- 남자의 앉은 절 (큰절)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맞잡는다.(평상시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맞잡는다.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린다. (큰절의 경우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린다.)

맞잡은 손으로 땅을 짚고 꿇어앉는다.

이마를 손등에 대고 몸을 숙여 절한다. (큰절의 경우 평절에 비해 몸을 조금 더 숙이고, 절을 한 상태에서 조금 더 머문다.)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우면서 일어난다.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렸다 내리고 약간 물러나면서 목례한다.(큰 절의 경우 같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렸다 내리고, 같은 절을 한 번 더 한 다음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 남자의 선 절 (묵념)

자세를 바로 하고 선다.

두 손을 양옆에 둔 채 몸을 30도 정도 굽힌다. (큰 경례의 경우 45도 이상 깊숙이 숙인다)

자세를 바로 하고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 여자의 앉은 절 (큰절)

왼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맞잡고 선다.(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하여 잡는다.)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린다.

무릎을 꿇고 앉는다.

몸을 깊이 숙여 절한다.

큰절을 2번 한 다음 일어서서 목례를 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 여자의 앉은 절 (평절)

공손한 자세에서 두 손을 자연스럽게 양옆에 둔다.

두 무릎을 꿇고 앉는다.

허리를 20도 정도 굽히고 양손을 앞으로 향하여 바닥을 짚는다.(양손의 너비는 어깨너비로 한다.)

자세를 바로 하고 일어난 다음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다시 앉는다. 앉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

 

- 여자의 선 절 (묵념)

손을 양 앞에 둔다.

양손을 앞으로 모으며 허리를 30도 정도 숙여 절을 한다. 큰 결례의 경우 45도 이상 깊이 숙인다.

허리를 펴고 자세를 바로 한 다음 목례하고 물러난다

 

(7) 옆에 계신 상주와 큰절 한번 또는 목례를 한다. 

(8) 접객실로 이동한다. 

300x250

5. 조문/문상 시 삼가야 할 일

1)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이다. 

2)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3) 상주가 어리다 하여 반말이나 예의 없는 행동은 해서는 안 된다. 

4)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면 안된다. 

5) 고인의 사망원인, 경위 등을 상세하게 묻는 것은 실례이다. 

6) 과도한 음주, 도박으로 인한 소란한 행위나 고 성강 가는 삼가야 한다. 

7) 술잔을 건배하면 안 된다. 

 

6. 기타 장례 용어 

장례(葬禮) 죽음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장사(葬事) 시신을 매장하거나 화장하는 등의 시신을 처리하는 일련의 행위
고인(故人) 장례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죽은 이에 대하여 예()로서 높여 부르는 말
시신(屍身) 죽은 사람의 몸체를 높여 부르는 말
사망진단서(死亡診斷書) 의사가 사람의 사망을 의학적으로 증명할 때에 작성하는 문서
사체검안서(死體檢案書) 의사의 치료를 받지 아니하고 사망한 사체를 살펴서, 의사가 사인(死因)을 의학적으로 검증(검안)하여 사망을 확인하는 증명서
상가(喪家) 장례를 치르는 장소로서 상을 당한 자택이나 장례식장

 

장례절차 용어

용 어 정 의
임종(臨終) 운명하는 순간을 지켜보는 것
운명(殞命) 숨을 거두는 것
고복(皐復) 고인의 소생을 바라는 마음에서 시신을 떠난 혼을 불러들이는 것
수시(收屍) 시신이 굳어지기 전에 팔과 다리 등을 가지런히 하는 행위
안치(安置) 시신의 부패와 세균번식 등을 막기 위하여 냉장시설에 시신을 모시는 것
부고(訃告) 고인의 죽음을 알리는 것
상식(上食) 고인이 생시에 식사하듯 빈소에 올리는 음식
염습(殮襲) 시신을 목욕시켜 수의를 입히고 입관하는 일
보공(補空) 시신이 움직이지 않도록 관의 빈곳을 채우는 일
입관(入棺) 시신을 관에 모시는 일
결관(結棺) 영구(靈柩)를 운반하기 편하도록 묶는 일
복인(服人) 고인과의 친인척 관계에 따라 상복을 입어야 하는 사람들
성복(成服) 입관 후 상주와 복인들이 상복을 입는 일
영구(靈柩) 시신이 들어있는 관
발인(發靷) 상가 또는 장례식장에서 영구를 운구하여 장지로 떠나는 일
장지(葬地) 시신을 매장 또는 화장하여 납골하는 장소

 

장례시설 용어

용 어 정 의
장례식장 (葬禮式場) 장례의식을 행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춘 장소
빈소(殯所) 문상객의 문상을 받기 위하여 고인의 영정을 모셔 놓은 장소
접객실(接客室) 문상객을 대접하기 위한 장소
안치실(安置室) 시신의 부패와 세균번식 등을 막기 위하여 시신보관용 냉장시설을 갖춘 장소
염습실(殮襲室) 시신을 목욕시키고, 수의를 입히며, 입관하는 장소
유족참관실 (遺族參觀室) 염습할 때 유족이 참관하는 장소
장례용품전시실
(
葬禮用品展示室)
유족이 직접 장례용품을 확인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전시․판매 하는 장소

 

제례 용어

용 어 정 의
성복제(成服祭) 성복은 입관이 끝난 다음, 고인과의 친소관계에 따라 상주 및 복인들이 상복으로 갈아입는 절차를 의미한다.
발인제(發靷祭) 아침 상식이 끝나면 영구를 옮긴다. 음식을 진설한 다음 주인 이하가 엎드리고 고축한다. 이것을 발인제라고 한다.
평토제(平土祭) 장례 의식에서 평토를 끝내고 나서 드리는 제사를 말한다.
평토가 끝나기를 기다려 영좌(靈座)를 설치하여, 그 앞에 주()·과()·포()를 진설하여 드리는 제사를 말한다.
반혼제(返魂祭) 시신의 부패와 세균번식 등을 막기 위하여 시신보관용 냉장시설을 갖춘 장소
염습실(殮襲室) 반혼제(返魂祭)는 매장을 마친 뒤 혼백을 집으로 모셔 와서 지내는 제사다.
재우제(再虞祭) 재우제는 망인의 시신을 땅에 매장하였으므로, 그의 혼이 방황 할 것을 염려하여 집에서 지내는 제사다.
삼우제(三虞祭) 삼우제(三虞祭)는 장례를 치른 후 3일째가 되는 날을 지내는 제사로 첫 번째의 성묘이다.
기제사(忌祭祀)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忌日)이라고 하는데, 대상(大祥)을 지낸 일 년 후부터 매년 이날 지내는 제사

 

장례용품 용어

 

조등(弔燈) 상가(喪家)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거는 등(燈)
시신을 덮는 홑이불 시신을 덮는 홑이불
혼백(魂帛) 고인 영혼을 상징하기 위해 빈소에 모시는 삼베나 명주로 접어서 만든 패
영정(影幀) 고인을 상징하는 초상화 또는 사진
수의(壽衣) 시신에게 입히는 옷
복건(幅巾) 시신의 머리에 씌우는 건
멱목(幎目) 시신의 얼굴을 덮는 천
충이(充耳) 시신의 귀를 막는 솜뭉치로 된 귀마개
악수(幄手) 시신의 손을 싸는 손 싸개
습신 시신에게 신기는 신발
조발낭(爪髮囊) 시신을 목욕시킬 때 빠진 머리카락․손톱․발톱 등을 넣는 작은 주머니
상장(喪杖) 상주 또는 복인이 짚는 지팡이
상장(喪章) 양복 형태의 상복을 입을 때 가슴에 부착하는 리본
두건(頭巾) 상복을 입을 때 머리에 쓰는 건
완장(腕章) 예서에는 없으나 간소화에 따라 두루마기 대용으로 왼쪽 팔에 차는 것이며, 상주와 복인의 표시로 검은 줄을 넣는다.
멧베(염포) 삼베 20자, 1필을 7폭으로 잘라 3쪽으로 가르고 시신을 묶는 끈
효건(孝巾) 복인이 머리에 쓰는 건
굴건제복 (屈巾祭服) 전통적인 상복
명정(銘旌) 고인의 관직이나 본관, 관직, 성명 등을 쓴 붉은 색 깃발
칠성판(七星板) 시신을 받치기 위해 관 바닥에 놓는 널빤지
관보(棺保) 영구(靈柩)의 덮개
천금(天衾) 시신을 덮는 이불
횡대(橫帶) 매장할 때 영구 위에 흙이 직접 닿지 않도록 덮는 나무토막 혹은 널빤지
부의록(賻儀錄) 문상객들의 이름과 부의금을 기록한 명부
영구차(靈柩車) 영구를 운반하는 자동차
채반 사자밥 세그릇 세 켤레를 받쳐서 상가의 집 앞에 진열해 놓는 그릇
기증(忌中) 상중(喪中)임을 알리기 위하여 상가의 대문이나 상주가 경영하는 점포의 문 앞에 붙여놓는 안내표
위패(位牌) 고인의 지방을 써서 간직하는 제품, 신위(오동나무, 플라스틱)
한지(漢紙) 일명 염습지라고도 하며 시신의 결박이나 입관 전후 사용
관보 시신을 입관하여 결관(結棺)후에 그 관을 씌우는 보
관(棺) = 널 = 곽 시신을 담아서 장지까지 운반(운구)하는 상자 (퇴관용, 입관, 매장용, 화장용, 석관)
면모 악수(面帽握手) 시신의 얼굴을 싸서 손톱을 깍아 담는 주머니를 손에 쥐어주고 감아주는 장갑(악수)
예단(禮緞) 청실(남자)과 홍실(여)로 만들어 이승을 결별하고 저승과의 결연을 의미하는 비단제품
초석(草席) 충해(蟲害)가 없다는 야생초를 건조시켜 여러 묶음으로 만든 것
지금(地衾)
금침(金枕) 베개
오랑(조발랑이) 대렴 입관때 고인의 손톱, 발톱, 머리털을 깍아 담는 삼베로된 주머니
상장(喪杖) 막대기 상여 뒤를 따라가는 상주가 짚는 지팡이
상복(喪服) 상주가 입는 옷
기 타 장례시에 사용되는 용품으로 만수향, 목향, 초, 향로, 촛대, 소독약(알콜, 세정대), 탈지면, 홑이불, 사진리본, 두건, 완장, 행전 등의 용품이 있다.

 

 

320x100
300x250

댓글